마르코 주르제비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코 주르제비치는 독일 코블렌츠에서 태어난 일러스트레이터이다. 그는 17세부터 전문적으로 활동하며 TRPG 회사들을 위해 흑백 그림을 제작했고, 이후 온라인 아트 커뮤니티 conceptart.org에서 주목을 받으며 Massive Black의 창립 멤버가 되었다. 2004년에는 포스트 아포칼립스 RPG인 데제네시스의 외형 디자인을 담당했으며, 마블 코믹스와의 협업을 통해 다양한 작품의 삽화 및 표지 작업을 진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르비아계 독일인 - 로베르트 프로시네치키
로베르트 프로시네치키는 유고슬라비아와 크로아티아 국가대표로 활약하며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레알 마드리드, FC 바르셀로나 등에서 뛴 크로아티아의 전직 축구 선수이자 현 축구 감독이다. - 세르비아계 독일인 - 네벤 수보티치
네벤 수보티치는 세르비아의 축구 선수로 중앙 수비수로 활약하며 미국 청소년 대표를 거쳐 세르비아 국가대표로 활동했고,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에서 전성기를 보내며 2012년에는 깨끗한 물에 대한 인권 실현을 위한 재단을 설립했다.
마르코 주르제비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79년 1월 23일 |
출생지 | 서독 코블렌츠 |
국적 | 독일 |
직업 | 만화가, 컨셉 아티스트 |
대표작 | 토르 |
웹사이트 | http://www.sixmorevodka.com/ |
2. 초기 생애 및 경력
마르코 주르제비치는 1979년 서독 코블렌츠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히맨과 같은 만화에서 영감을 받아 그림에 재능을 보였으며, 번 호가스의 《다이내믹 해부학》을 통해 독학으로 그림 실력을 키웠다.
2. 1. 초기 작품 활동
주르제비치는 서독 코블렌츠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히맨과 같은 만화에서 영감을 받아 그림에 재능을 보였다. 11살 때 번 호가스의 책 ''다이내믹 해부학''(1958)을 발견했는데, 이는 그의 자기 교육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2년 동안 이 책을 공부한 후, 그림에 현실주의적인 요소를 더했다. 그는 호가스로부터 배운 것을 토대로 삼는 동시에 일상생활의 관찰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십 대 시절 주르제비치는 스파이더맨과 같은 미국의 만화책에 영향을 받았는데, 이는 이후 마블 코믹스 일러스트레이터로서의 그의 경력을 예고하는 것이었다. 그는 몇 년 후 만화 스타일의 그림을 "너무 양식화"되었고 "과장"되었다고 언급하며 거부했다. 17세에 일러스트레이터로 전문적인 활동을 시작하여, 주로 화이트 울프, Inc.와 팬프로 게임과 같은 TRPG 회사들을 위해 흑백 그림을 제작했다.
3. Conceptart.org, Massive Black, 그리고 Degenesis
주르제비치는 독일에서 일러스트레이터로 활동하며 자신만의 스타일을 발전시켰다. 그의 스타일은 해부학적 정확성을 유지하면서도 스케치와 같은 느낌을 주는 것이 특징이었다. 친구의 권유로 자신의 디자인과 그림을 온라인 아트 커뮤니티인 conceptart.org에 게시하여, 짧은 시간 안에 상상력으로 매우 믿을 만한 인물을 창조하는 능력으로 즉각적인 인정을 받았다. conceptart.org의 창립 멤버인 제이슨 맨리와 앤드루 존스는 비디오 게임 회사와 영화 산업을 위한 컨셉 아트를 제작하는 회사를 설립하려 했고, 주르제비치는 인간 캐릭터와 크리처 디자인에 집중하는 수석 컨셉 아티스트로 이 그룹에 합류하여, 현재 Massive Black으로 알려진 회사의 창립 멤버가 되었다.
Massive Black은 인터넷을 통해 협업하는 전문가 그룹으로 시작했지만, 프로젝트가 늘어나면서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 물리적인 본사를 설립해야 했다. 주르제비치는 고국을 떠나 미국으로 이주하여 3년 반 동안 그곳에서 살았고, 이 기간 동안 conceptart.org 커뮤니티 리더와 전문 강사들은 다양한 장소에서 워크숍을 개최하여 신진 예술가들을 직접 가르치며, 웹사이트가 형성한 예술 커뮤니티와 더욱 친밀한 수준으로 연결되었다.
2004년, 주르제비치는 크리스티안 군터로부터 포스트 아포칼립스 테마의 RPG인 데제네시스 작업을 제안받았다. 군터는 2001년에 이 게임을 출시했지만 큰 주목을 받지 못했고, 게임의 개정과 강력한 예술적 방향이 더 많은 청중을 확보할 수 있기를 희망했다. 주르제비치는 게임의 대부분의 외형, 내부 삽화 및 캐릭터 디자인을 맡아, 독창적이면서도 믿을 수 있는 세계를 대규모로 창조하는 능력을 보여주었다. 그는 비대칭적인 디자인, 끔찍한 테마, 제스처에 초점을 맞춘 게임 내 캐릭터 스타일과 빠르게 연관되었으며, 포스트 아포칼립스 장르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장르라고 자주 언급했다.
3. 1. Conceptart.org와 Massive Black
친구의 권유로 온라인 아트 커뮤니티 conceptart.org에 자신의 작품을 게시하면서, 독창적이고 사실적인 인물 묘사 능력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제이슨 맨리와 앤드루 존스는 Conceptart.org의 창립 멤버였는데, 이들에게 발탁되어 컨셉 아트 회사 Massive Black의 창립 멤버이자 수석 컨셉 아티스트로 합류했다. Massive Black은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주르제비치는 미국으로 이주하여 3년 반 동안 활동했다.3. 2. Degenesis
2004년, 주르제비치는 크리스티안 군터로부터 포스트 아포칼립스 테마의 TRPG인 데제네시스 재작업을 제안받았다. 군터는 2001년에 이 게임을 출시했지만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군터는 게임을 개정하고 강력한 예술적 방향을 부여하면 더 많은 독자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주르제비치는 게임의 전반적인 외형, 내부 삽화, 캐릭터 디자인을 담당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주르제비치는 독창적이면서도 현실적인 세계를 대규모로 창조하는 능력을 보여주었다. 그는 비대칭적인 디자인, 끔찍한 테마, 제스처에 초점을 맞춘 캐릭터 스타일을 선보였으며, 포스트 아포칼립스 장르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다.4. 마블 코믹스와의 협업
주르제비치는 캘리포니아에서 콘셉트 아티스트로 활동하며 튜토리얼 DVD 제작에도 참여했다. 2006년 말, Massive Black은 DVD Character Ideation을 출시했다.
4. 1. X-Men 재디자인과 마블과의 계약
주르제비치는 캘리포니아에서 콘셉트 아티스트로 계속 활동했다. 이 무렵, 친구 닉 클라인의 권유로 X-멘 캐릭터 18명을 재창조했다. 이 캐릭터들은 마블 코믹스에서 일하는 편집자에게 발견되었고, 편집자는 주르제비치에게 마블 타이틀 표지 삽화 제작에 대한 독점 계약을 제안했다. 그는 ''X-23'' 시리즈의 테스트 표지를 제작한 후 이 제안을 수락했다.5. 작품 목록
주르제비치는 주로 마블 코믹스에서 만화 표지 및 내부 삽화를 그렸다.
5. 1. 마블 코믹스
제목 | 이슈 번호 | 연도 |
---|---|---|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 #544-545, 573, 642-643 | 2007–2010 |
어벤저스 아카데미 | #1 | 2010 |
어벤저스: 칠드런 크루세이드 | #1 | 2010 |
블랙 팬서 | vol. 4, #1 | 2009 |
블레이드 | #1, 4-5 | 2006–2007 |
케이블 | vol. 2, #4, 21-24 | 2008–2010 |
캡틴 아메리카 | #601, 606-609 | 2009–2010 |
데어데블 | #500 vol. 2, #95-119, Annual #1 | 2007–2009 |
데어데블: 블러드 오브 더 타란툴라 | 원샷 | 2008 |
데어데블: 레이디 불스아이 | 원샷 | 2009 |
다크 어벤저스 | #1 | 2009 |
다크 레인: 판타스틱 포 | 2009 | |
다크 레인: 더 후드 | 미니시리즈, #1-5 | 2009 |
다크 레인: 더 리스트 - 어벤저스 | (커버 및 내부 삽화) | 2009 |
다크 울버린 | #75 | 2009 |
닥터 부두: 어벤저 오브 더 슈퍼내추럴 | 2009 | |
호크아이 & 모킹버드 | 미니시리즈, #1-4 | 2010 |
마블 보이: 더 유라니안 | 미니시리즈, #1-3 | 2010 |
마이티 어벤저스 | #9, 11 | |
토르 | #600-603, 자이언트 사이즈 피날레 #1 (커버 및 내부 연필 삽화) vol. 3, #7-8 (내부 연필 삽화) | 2009-2010 |
토르: 에이지 오브 썬더 | 미니시리즈, #1 | 2010 |
토르: 맨 오브 워 | 2010 | |
토르: 레인 오브 블러드 | 2008 | |
썬더볼츠 | #110-121, 144-147 | 2007-2010 |
얼티밋 캡틴 아메리카 | Annual #1 (내부 연필 삽화) | 2008 |
얼티밋 헐크 | Annual #1 (내부 연필 삽화) | 2008 |
얼티밋 폴아웃 | 미니시리즈, #1-6 (변형판) | 2011- |
왓 이프: 시빌 워 | (내부 연필 삽화, 2페이지) | 2008 |
울버린 | vol. 2, #73 | 2009 |
울버린: 오리진스 | #13-19 | 2007-2008 |
울버린: 웨폰 X | #2 | 2009 |
시크릿 어벤저스 | #1 삽화 | 2010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